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사전지정운용제도

by 엠팁스 2023. 6. 21.
loading

퇴직연금-디폴트-옵션운용제도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운용제도

2022년 7월 12일부터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DC제도)와 개인형퇴직 연금제도(IRP제도)에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가 도입되어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이 의무사항이 되었습니다.

 

 

작년 7월 12일 부터12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금융회사의 시스템 준비로 인해 유예기간 1년을 두었습니다. 그리하여 2023년 7월 12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디폴트옵션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의 의미와 의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C제도와 IRP제도에만 적용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은 DC형과 IRP에만 적용됩니다. 만약 만기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현금 자산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본인만 손해를 보게 되므로 디폴트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금융회사가 디폴트옵션을 제시할 때는 상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상품의 위험등급, 자산배분현황, 위험수익 구조, 손실 가능성, 과거 수익률, 수수료, 예금자보호한도 등을 확인하고 상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디폴트옵션-적용-절차
디폴트옵션 적용 절차

 

 

저는 회사에사 디폴트 옵션 안내장을 받았습니다. 국민은행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안내장과 상품 안내를 받아서 공유합니다. 

 

[국민은행] 사전지정운용제도 제도안내장.pdf
0.38MB

 

 

[국민은행]사전지정운용제도 상품안내장_.pdf
0.43MB

 

 

 

아래에는 고용 노동부 보도자료입니다. 위험등급별 상위 30개 상품 3개월 수익률 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폴트상품수익률현황(보도자료).pdf
0.26MB

 

 

개인이 디폴트 옵션을 설정하기 전에 우선 해당 기업에서 고용노동부에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변경사항을 신고해야 합니다. 그런 후 은행에 디폴트 옵션을 등록한 후 근로자는 온라인이나 창구에서 자신의 디폴트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국민은행의 경우 
KB퇴직연금 > 개인고객 > 사전지정운용(디폴트옵션) > 등록변경

 

 

 

 

내 연금 조회하기 >>

선택의 의무

디폴트옵션을 선택한다고 해서 이미 운용지시를 하고 있는 상품이 디폴트옵션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은 아닙니다. 운용지시한 상품은 그대로 유지되며, 이후 추가로 운용지시를 하지 않는 경우에 디폴트옵션이 적용됩니다. 만기가 돌아왔는데도 이후에 추가로 운용지시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폴트옵션이 적용됩니다. 만기가 없는 상품이라면 디폴트옵션과 상관없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1편 퇴직연금 사전운용제도란 무엇인가요?

 

2편 퇴직연금 사전운용제도란 무엇인가요?

 

 

디폴트 옵션 요약 정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을 한눈에 요약한 정보를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 운영지시 없는 6주가 지나지 않아도 바로 디폴트 옵션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옵크인(Opt-In)이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