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경제상식] 금리노마드족이 생겨나는 이유

by 엠팁스 2023. 4. 10.
loading


금리 노마드라는 용어는 "노마드(Nomad)"와 "금리(Interest Rate)"의 합성어입니다. 노마드는 이동하는 여정을 계속하는 유목민을 의미하며, 금리 노마드는 이자율이 높은 나라로 계속해서 돈을 이동시켜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금융시장에서 일어나는 이자율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금리 차이에 따라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금리 노마드족 이미지

 

금리노마드라는 용어의 유래


금리노마드라는 용어는 일본의 경제학자이자 작가인 미야자와 마사오(宮澤 賢治)의 저서 '무직전설'에서 처음 언급되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주인공인 무직의 청년이 높은 이자율을 지불하는 마을에서 마을을 떠나 저축은행에서 낮은 이자율을 받으며 삶을 이어가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이자를 지불하는 곳으로 이주하는 것을 금리노마드라 표현하였습니다. 이후 금리노마드라는 용어는 일본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며, 대출금리나 예금금리가 높은 지역에서는 해당 용어가 흔히 사용됩니다.


금리노마드족이 생기는 이유


금리 노마드는 주로 높은 이자율을 얻기 위해 새로운 은행이나 금융 기관으로 자주 계좌를 이전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금융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진 결과입니다. 금융 시장에서는 대출과 예금 사이의 이자 차이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예금 모집을 늘리기 위해 더 높은 이자를 제공하며, 이러한 경쟁은 금리 노마드를 유도합니다.

둘째, 기술적인 발전이 금리 노마드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금융 시대에 들어서면서, 온라인 은행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금 상품에 대한 정보가 보다 쉽게 이용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다양한 은행의 이자율을 비교하고, 쉽게 계좌를 이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셋째, 금리 노마드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월드의 환경에서 자연스레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금리 노마드는 온라인 금융 포털을 통해 쉽게 은행별 예금 상품의 이자율을 비교하고, 가장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은행으로 예금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

총론적으로, 금리 노마드는 경쟁이 치열한 금융 시장에서 높은 이자율을 찾는 고객들과 디지털 금융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생겨나게 됩니다.


금리노마드의 일반적인 부작용


금리 노마드는 새로운 금리가 높은 은행이나 금융 기관으로 이전해 높은 이율의 예금이자를 받으려는 사람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노마드는 이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은행 계좌를 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으로는 이자 수익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금리 노마드는 은행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은행은 예금을 모아 대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은행이 예금을 모아서 대출을 하지 못하면, 그들은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금리 노마드가 예금을 이전하면 은행의 예금 규모가 축소되어 대출 활동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둘째, 금리 노마드는 은행 간 경쟁을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은행들은 경쟁을 통해 예금 모집 규모를 늘리려고 노력합니다. 이는 금리 노마드에게 이익을 주는 한편,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 예금 이자율이 상승하여 대출 이자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금리 노마드는 재정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많은 계좌를 가지고 있으면 관리하기 어렵고, 이에 따른 은행 수수료 및 기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노마드가 예금을 이전하면서 은행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감소시키면, 은행 파산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금리 노마드는 일시적으로 이자 수익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노마드는 자신의 재정 상황과 은행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