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은 노후준비의 가장 기본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감소와 노인부양 비율 증가 등으로 국민연금에만 의존하는 것으로는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등 다양한 연금을 준비하여 부족한 노후자산관리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3층 연금구조란?
우리보다 고령화 사회를 먼저 경험한 국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3층 연금구조를 통해 근로자들의 노후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3층 연금구조란 "국가, 기업, 개인"이 운영하는 3단계 보장을 통해 근로자가 퇴직한 후에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부족한 노후생활비를 보완하기 위해 완전한 은퇴의 시기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은퇴 전 응답자가 희망하는 은퇴 평균 연령은 평균 65세이나, 실제 완전 은퇴연령은 약 75세로 추정되어, 희망하는 은퇴연령과 실제 완전 은퇴 연령 사이에는 10세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25세 ~ 74세의 절반가량은 부족한 노후생활비를 보완하거나 삶의 활력 등의 이유로 75세 이후에나 일에서 완전히 은퇴할 것으로 추정되며, 55세 ~ 69세에 완전 은퇴가 가능한 경우는 30% 정도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실제 은퇴가구가 노후를 위한 재무준비 과정에서 가장 후회하는 점은 '더 저축하지 못한 것'입니다.
한 개인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맞춤형 노후설계
한 개인의 라이프사이클은 크게 연령대별 4단계로 구분되고, 각 단계별 맞춤형 투자설계가 이뤄져야 합니다. 특히 결혼이나 자녀교육, 내집마련 등의 이벤트성 재무이슈를 고려하여 자산과 부채를 관리함으로써 편안한 노후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은퇴 후 가구가 경제적 노후준비 과정에서 가장 후회하는 점은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저축을 하지 못한 것'(56.0%)입니다. 그 뒤를 이어 '일찍부터 창업이나 재취업을 준비하지 못한 것'(11.3%)과 '투자형 금융상품에 더 투자하지 못한 점'(11.3%)을 아쉬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금은 3층으로 준비해야
3층 연금구조를 통한 은퇴설계는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연금을 준비하여 부족한 노후자산관리가 필요한 시기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맞춤형 투자설계를 수립하여 노후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은퇴 후 가구가 노후를 위한 재무준비 과정에서 가장 후회하는 점은 '더 저축하지 못한 것'이므로, 미리 준비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가입 방법 동영상 모아보기 (국민은행 편) (0) | 2023.06.22 |
---|---|
빅맥 지수 (0) | 2023.04.13 |
블랙스완, 그레이스완, 화이트스완, 네온스완 (0) | 2023.04.12 |
그레이 라이노 (GREY RHINO) "미리 막을 수 있는 경제 위기" (0) | 2023.04.11 |
[뉴스/속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연3.5%로 동결 (0) | 2023.04.11 |